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방법부터 세액공제 신청까지 한눈에 정리

소현마지막 수정
250507_전자세금계산서발급.jpg

전자세금계산서, 매출이 일정 금액을 넘긴 사업자라면 의무이고 발급만 잘해도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어떤 경우에 의무지?”, “어떻게 발급하지?”, “공제 신청 따로 해야 하나?” 등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이 어떤 경우에 필요한지, 발급 방법, 세액공제 신청까지 실제 사업자 관점에서 꼭 필요한 정보만 쏙 뽑아 정리해드릴게요.지금 바로 확인하고,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 받아가세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 3줄 요약 📌

  • 전자세금계산서는 부가세 신고·환급·세액공제를 위해 반드시 발급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 국세청 홈택스나 대행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발행할 수 있고, 세액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요.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으로 신청할 수 있는 세액공제 한도는 최대 100만 원이에요

전자세금계산서란? 

전자세금계산서 뜻

전자세금계산서는 부가세를 포함한 거래 내역을 온라인으로 증빙하는 서류입니다. 기존에는 종이로 발행하던 세금계산서를 이제는 온라인으로 발급하는 형태로 바뀐 것이죠.

여기서 세금계산서란, 사업자가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돈을 받을 때, 부가가치세(VAT)를 포함해서 거래 내용을 증빙하고자 발행하는 서류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왜 꼭 발급해야 할까? (의무발행대상자)

의무발행 대상이거나,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해요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이 필수입니다

  •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과 거래를 할 때 (의무발행 대상)
  • 직전 연도 매출이 3억 원 이상인 개인사업자 (의무발행 대상)
  • 법인 사업자의 경우 (매출과 무관하게 의무발행 대상)
  • 세액공제 받고 싶은 경우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 공제 가능)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과 거래할 때 판매자가 세금계산서 발급하는 것이 기본조건입니다. 구매자 입장에서도 세금계산서를 받아야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어요. 세금계산서가 없다면 부가세는 그냥 비용 처리로 끝나고 환급이 불가능해져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그렇다면 전자세금계산서는 어떻게 발행받을 수 있을까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국세청 홈택스 이용  : 공동인증서 또는 보안카드·지문 등 생체인증으로 발급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대행사업자 시스템 이용 : 공동인증서로 발급
  • 기타 방법 : 전화 ARS 이용, 세무서 대리발급 등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및 기간 (국세청 홈텍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절차공동인증서 등 준비, 회원가입, 발급, 전송, 조회, 부가가치세 등 신고의 단계로 이루어져요. 국세청 홈텍스를 활용해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 1.
    홈택스 회원가입 및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등록 (개인 인증서 불가, 사업자 범용 공동인증서 필요)
  • 2.
    홈택스 로그인 → [전체메뉴]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 3.
    공급자·공급받는 자 정보, 금액, 날짜 입력 
  • 4.
    저장 후 발급 클릭 → 거래처 및 국세청에 자동 전송됨 
     
  • 발행기한: 매출이 발생한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발행해야 인정 (공휴일인 경우 다음 영업일)
  • 전송기한: 발행 후 7일 이내 국세청 전송 (미전송·지연 시 가산세)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용도 

구분

주요 용도

상세 설명

세금 신고 및 세액공제용

부가가치세 신고 시 증빙 자료로 사용

- 일정 요건 충족 시 1건당 200원 세액공제

거래처 정산/대금청구용

거래 증빙 및 정산 근거 제공

- 거래처에 자동 이메일 발송

- 세금계산서 번호 기준으로 처리됨

회계처리/장부관리용

회계 시스템에 자동 반영 및 데이터 관리

- 홈택스에서 발행내역 엑셀로 내보내기 가능

조회/정정/재발행

오류 수정 및 거래 확인

- 정정발급 후 기존 건 취소하고 재발행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

전자세금계산서는 국세청이 실시간으로 거래를 확인할 수 있어 세금 탈루 방지에 효과적이에요.

그래서 정부는 사업자에게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면 인센티브로 ‘세액공제를 줍니다.

이게 바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세액공제 제도예요. 

 

공제한도는 얼마일까요? 전자세금계산서 1건당 200원씩 세액공제해 주는데요, 연간 최대 1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해요. (2025년 기준)
 

예시: 김 사장님이 1년 동안 전자세금계산서를 3,000건 발급했다면?

→ 3,000건 × 200원 = 60만 원 세액공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 대상

👉🏻 개인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X) 중에서,

👉🏻 직전연도 매출이 3억 원 이하인 경우에,

👉🏻 전자세금계산서를 홈택스 등에 발급 + 전송 완료한 경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 신청 방법

전자세금계산서만 발급했다고 공제가 자동으로 되는 건 아니에요! 꼭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세액공제 신청서’를 함께 제출해야 해요.

  • 1.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 신고서 작성
  • 3.
    [세액공제 명세서]란에서 → 전자세금계산서 세액공제 내역 입력
  • 4.
    홈택스에서 발급 건수 자동 조회 가능
  • 5.
    제출 완료하면 환급 또는 세금 차감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 실수 방지 Tip

  •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만 하고, 전송을 안 한 경우 → 공제 불가
  •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세액공제 항목을 빠뜨림 → 공제 누락
  • 직전연도 매출 3억 원 초과인데 신청 → 대상 아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 세무상  Tip

✅ 세금계산서를 분기나 월 단위로 묶지 말고, 건건이 전자 발행하는 것이 유리해요.

예: 1회 100만 원어치 납품이라도 2회 나눠서 하면 공제는 2건 = 400원!

✅ 전자계산서(면세용)도 별도 세액공제가 있어요. 건당 100원, 연간 100만 원 한도로 공제해줍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부터 활용까지 정리해 드렸는데요, 부가세 과세 대상 사업 구매자라면,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서 내가 받아야 할 환급을 챙기고, 세액공제 대상에 속한다면,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후 세액공제 신청을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세액혜택을 꼭 받아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하단에 있는 버튼을 통해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세액공제뿐만 아니라, 5년 이내 내가 신고를 놓친 환급금을 모두 무료로 조회 및 바로 환급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평균 환급액이 1151만 원이라고 하니, 내 환급금액도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세액공제의 모든 것 | 절세팁

  • 연말정산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본인신용정보관리회사인 뱅크샐러드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www.banksalad.com/articles/home)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남기기
    IMG_4559-2.jpeg

    소현

    다양하고 복잡한 금융 정보를 정리해서 여러분들에게 필요하고, 궁금할 부분을 콕 찝어 알려드릴게요.
    금융 어드바이저 글 더보기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