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공제용 연금저축과 IRP : 연봉별 개인연금 세액공제 조합 가이드

소현마지막 수정
250404_개인연금소득공제.jpg

 

“연금저축이 좋다는데, IRP까지 꼭 들어야 할까?”, “어떤 개인연금이 나한테 제일 유리한 선택일까?”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개인연금상품의 세액공제율은 주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개인형 IRP)을 중심으로 적용됩니다. 이 상품들은 노후 준비를 지원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장려 금융상품이에요. 

 

그럼 나는 어떤 금융상품으로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요?

헷갈리는 세액공제 규정, 연봉 기준으로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찾는다면? 소득공제용 개인연금 종류/공제율 비교

소득공제 되는 개인연금 종류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찾고 있다면, 먼저 이 사실을 알아두어야 해요.

 

📌현재 개인연금 상품에서는 소득공제가 되는 상품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 과거에는 소득공제 혜택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 세액공제 혜택으로 바뀌었어요.

 

✅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차이점 

-소득공제: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 자체를 줄여 세금을 낮추는 방식

-세액공제: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

 

즉, 개인연금 상품 중 가입 가능한 금융상품은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구조예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개인연금 상품에는 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개인형 IRP, ISA가 있어요. 또한 일부 보장성보험도 소득공제를 제공합니다.

아래 표에서 각 상품별로 받을 수 있는 공제 방식과 최대 혜택 기준을 정리해드릴게요.


세액공제혜택 제공 개인연금상품

공제 방식

상품

최대 혜택 기준

세액공제

최대 600만 원 납입 / 16.5% 또는 13.2%

세액공제

연금저축과 합산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세액공제

IRP로 전환 시 최대 300만 원에 10% 추가 공제

소득공제

보장성 보험

100만 원 한도 / 12% 또는 15% 공제

개인연금 세액공제율은 얼마나 될까? 한눈에 비교하기

개인연금 상품은 연소득에 따라 세액공제율과 공제한도가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상품별 세액공제율을 한눈에 비교해보세요!

연금저축계좌는 600만 원을 한도로 하고, 연금저축계좌와 퇴직연금을 합한 금액은 900만 원을 한도세액공제합니다.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항목

공제 한도

공제율

특징

연금저축

연간 최대 6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보험사·은행·증권사 제공

노후 대비 장기상품

개인형 IRP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퇴직금 + 개인 납입금 운용

예금·펀드 등 다양한 자산 투자 가능

ISA

연금계좌 전환 시 최대 300만 원 세액공제

만기 시, 개인연금계좌로 전환하는 금액의 10% 세액공제

만기 후 IRP로 전환 시

추가 절세 가능

보장성 보험

연간 최대 100만 원

- 일반 보장성 보험: 12%

-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 15%

종신보험·건강보험 등

질병·사고 대비 목적

연봉별 개인연금 최대 세액공제 전략은 이렇게!

다양한 연금상품 중 어떤 조합으로 가입해야 가장 유리할지 고민되시죠?

연소득 구간에 따라 적용되는 세액공제율과 공제 한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내 소득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해요.

아래에서 연봉 구간별로 가장 효율적인 세액공제 전략을 정리해드릴게요.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풀 납입

세액공제 최대화 (600만 × 16.5% = 99만 원)

IRP

추가로 300만 원 납입

IRP 포함 총 900만 납입 = 49.5만 원 공제

ISA

여유 자금은 ISA에 투자, IRP 전환 고려

수익 비과세 + IRP 전환 시 10% 세액공제 가능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일반 12만 원 / 장애인용 15만 원 절세 가능

👉🏻 세액공제율 최고인 16.5% 적용 가능

 

이 구간에서는 공제율이 16.5%로 가장 높기 때문에, 연금저축 600만 원과 IRP 300만 원을 풀납입해 최대 절세 효과를 노리는 전략이 유리합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 1.2억 원 미만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유지

600만 × 13.2% = 79.2만 원 공제

IRP

300만 원 납입

300만 × 13.2% = 39.6만 원 공제

ISA

여유 자금은 ISA 활용 + 장기 운용 권장

ETF 등으로 수익 얻고, 만기 시 IRP 전환 고려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소득 공제 12만 원 또는 15만 원

👉🏻 세액공제율 13.2% 적용

 

공제율이 다소 낮아지지만, 여전히 연금저축 600 + IRP 300 한도는 유지돼요. 이 구간에서는 IRP와 ISA를 병행하여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총 급여 1.2억 원 이상 (또는 종합소득 1억 원 이상)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유지

여전히 최대 79.2만 원 세액공제 가능 (13.2%)

IRP

200만 원까지만 공제 가능, 초과분은 일반 과세

세액공제는 26.4만 원 한도

ISA

자산 증식·절세 목적의 핵심 계좌로 적극 활용

만기 시 IRP 전환 → 추가 세액공제 + 투자 수익 비과세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의료비 대비 + 소득공제 최대화

👉🏻 공제한도 축소 (IRP 세액공제 한도 200만 원으로 줄어듦)

 

해당 구간 소득자의 경우 IRP 한도가 줄어드는 만큼, IS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IRP는 세액공제 한도 내에서 전략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에요.

위 내용을 요약해서 한눈에 비교해 드릴게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IRP 연봉별 최대 세액공제 혜택 요약

연봉 (총 급여 기준)

세액공제율

연금저축 납입

IRP 납입

총 세액공제 한도

최대 세액공제액

5,500만 원 이하

16.5%

600만 원

300만 원

900만 원

148.5만 원

5,500만 원 초과 ~ 1.2억 원 미만

13.2%

600만 원

300만 원

900만 원

118.8만 원

1.2억 원 이상

13.2%

600만 원

200만 원

800만 원

105.6만 원

마지막으로 상황별 추천 전략도 같이 비교해 보는 게 좋아요.


 상황별 세액공제 금융상품 전략 TIP 

  • 소득이 적고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고 싶다면 👉🏻 연금저축 600 + IRP 300 납입 우선
  • 연금저축이 번거롭고 투자 중심으로 운용을 선호한다면 👉🏻 IRP 900만 원 풀납입 + ETF 중심 투자
  • 보장성 보험도 함께 고려 중이라면 👉🏻 세액공제보다 소득공제 항목으로 별도 구성하는 것이 유리
  • ISA 만기가 가까워졌다면 👉🏻 IRP로 일부 전환해 10% 세액공제 추가 혜택 받기

 

■ 금융상품판매대리 중개업자 : (주)에즈금융서비스(제2012118012호)
■ 상기 내용은 모집종사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계약 체결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은 보험 계약자 및 피보험자에게 귀속됩니다.
■ 보험계약체결 전, 보험상품 설명서 및 약관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보험계약자가 기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① 질병이력, 연령증가 등으로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② 가입 상품에 따라 새로운 면책기간 적용 및 보장 제한 등 기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광고는 광고심의 기준을 준수하였으며, 유효기간은 심의일로부터 1년 입니다.

AZ-준법감시팀-준법심의필2025-00304 (2025.07.21~2026.07.20)

 

세액공제의 모든 것 | 절세팁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본인신용정보관리회사인 뱅크샐러드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www.banksalad.com/articles/home)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남기기
    IMG_4559-2.jpeg

    소현

    다양하고 복잡한 금융 정보를 정리해서 여러분들에게 필요하고, 궁금할 부분을 콕 찝어 알려드릴게요.
    금융 어드바이저 글 더보기

    추천 콘텐츠